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

씨와 씨의 종류, 씨의 구성, 씨의 발달 씨 열매 속에 있는, 새로운 개체로 자라날 물질이다. 씨았, 씨알, 또는 종자라고도 한다. 씨 안에는 아직 자라지 않은 뿌리와 줄기로 이루어진 배가 들어 있다. 씨는 껍질로 싸여 있으며 안에 양분이 저장되어 있다. 씨는 약 250000종의 식물에서 만들어진다. 속씨식물은 씨를 만드는 식물 중에 가장 큰 무리인데, 다양한 교목, 관목, 그리고 부드러운 줄기를 갖는 초본식물이 포함된다. 또한 씨는 구과를 만드는 약 800 종류의 겉씨식물에서도 만들어진다. 서로 다른 식물은 서로 다른 씨를 만들고, 크기도 다양하며, 씨의 수는 씨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더블코코넛은 가장 큰 씨를 만드는데, 씨 1개의 무게가 23kg이 넘는다. 그 반대로, 난초의 씨는 가장 작아서 한 꼬투리에 들어 있는 약 80만 개의 무게가.. 2020. 12. 30.
식물의 분류 식물의 분류 식물학자들은 각 식물이 있는 유사점에 따라 식물을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식물에 대한 정보를 체계화하고 서로 다른 식물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주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식물은 보통 전체 모양, 내부 구조, 생식기관의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식물학자에 따라 식물을 나누는 방법이 다른데, 식물계의 분류에는 몇 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다. 아래에 자주 이용되는 10가지 문으로 나누는 방법을 소개한다. 선태식물은 비관다발식물로, 물과 양분을 운반하는 물관부와 체관부가 없다. 그러나 다른 모든 문에 속하는 식물들은 물관부와 체관부가 있는 관다발식물이다. 비관다발식물 선태식물문(Bryophyta) 이 문에는 태류, 뿔이끼류, 선류가 속한다. 선태식물은 포자로 번식하며 잎과 줄기와 뿌리의 구분이 뚜렷하.. 2020. 12. 23.
식물의 적 - 질병, 영양결핍, 해충, 식물의 방어법 식물의 적 식물에 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것은 병충해이다. 병충해는 야생 상태에서 지니고 있던 자연적인 방어력이 없어진 농작물, 원예작물, 관상용 식물에 심각한 해를 미친다. 한 지역에 식물의 질병이 널리 퍼지면 기근이 닥치기도 한다. 1840년대 아일랜드에서는 균류가 일으킨 감자역병으로 감자 농사를 망친 이후 약 750000명이 굶어 죽는 기근이 있었다. 오늘날에도 많은 식물이 질병으로 죽고 있다. 한편 메뚜기나 쐐기벌레와 같은 곤충, 그리고 진드기와 설치류(쥐, 다람쥐, 토끼 등)와 같은 동물들도 식물에 해를 준다. 식물과 질병 균류, 세균, 바이러스, 선충류 등 작은 벌레와 수많은 미생물이 식물에 병을 일으킨다. 균류는 다른 미생물보다 더 많은 식물병을 일으키며, 바이러스도 역시 심각한 질병의 원인이.. 2020. 12. 22.
식물의 적응 방법 식물의 적응 동물과 마찬가지로 식물도 살아가는데 필요한 환경요인, 즉 햇빛과 물을 얻기 위해 서로 경쟁하고 자라고 번식한다. 수만 년이 지난 후 살아남은 식물이 그 조상과 다른 이유는 자연선택 또는 적자생존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환경에 적응해왔기 때문이다. 초기식물 육상식물은 약 4억 3000만 년 전 고생대에 처음으로 나타났다. 이 식물체는 매우 단순했으며, 오늘날의 식물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막대기와 같은 몸체에, 물을 운반하는 관다발조직이 없었다. 많은 식물학자들은 이들 초기 육상식물이 원시 관다발식물의 조상이라고 생각한다. 리니오피테스라는 최초의 관다발식물은 잎과 뿌리가 없이 지면을 따라 자라는 줄기와 Y자 모양의 가지를 가진 수직 줄기가 있는 식물체로써 키가 60~90cm 정도였다. 리니오.. 2020. 12. 21.
식물의 생장 방법 식물의 생장 방법 식물은 양분을 얻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하나는 엽록소가있어 물과 햇빛을 이용하여 생장에 필요한 양분과 그 밖의 물질을 만드는 녹색식물인 독립영양생물이고 다른 하나는 엽록소가 없어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는 기생식물과 부생식물인 종속영양생물이다. 발아 씨가 싹트는 과정이다. 씨는 휴면이라는 생활이 정지된 기간을 거친 뒤에 싹이 튼다. 휴면은 겨울 동안 계속 되다가 봄이 되면 발아하기 시작한다. 씨가 싹트려면 적당한 온도, 알맞은 수분, 산소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씨는 식물체와 마찬가지로 18~30도에서 가장 잘 싹튼다. 그러나 추운 지역에서 자란 식물의 씨는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아할 수 있으며, 열대지방에서 자란 식물의 씨는 높은 온도에서 발아할 수 있다. .. 2020. 12. 20.
식물이 자라는 장소 식물이 자라는 장소 식물은 적어도 일 년 중 한 시기는 따뜻하고, 비가 충분히 내리며,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라지만, 극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다. 이끼는 기온이 0도 이상으로 거의 올라가지 않는 남극에서도 자라며, 사막식물은 기온이 40도 이상 올라가는 지역에서도 자란다. 부들은 늪이나 습지처럼 축축한 환경에서만 자라고, 선인장은 주로 사막에서 자란다. 식물이 살아가는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많이 있는데, 그 중 햇빛, 온도, 강수량과 같은 기후 조건이 가장 중요하다. 토양을 비롯하여 같은 지역에서 살아가는 다른 식물과 동물도 식물의 환경ㅇ을 구성하며, 이 모든 요인들이 모여 자연군집을 이룬다. 두 자연군집이 똑같은 경우는 없지만, 여러 군집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세계는 생물군계(넓은 지역에 .. 2020.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