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의 구조

식물이 자라는 장소

by 로운 이 2020. 12. 19.

식물이 자라는 장소

식물은 적어도 일 년 중 한 시기는 따뜻하고, 비가 충분히 내리며,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라지만, 극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다. 이끼는 기온이 0도 이상으로 거의 올라가지 않는 남극에서도 자라며, 사막식물은 기온이 40도 이상 올라가는 지역에서도 자란다. 부들은 늪이나 습지처럼 축축한 환경에서만 자라고, 선인장은 주로 사막에서 자란다.

 

식물이 살아가는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많이 있는데, 그 중 햇빛, 온도, 강수량과 같은 기후 조건이 가장 중요하다. 토양을 비롯하여 같은 지역에서 살아가는 다른 식물과 동물도 식물의 환경ㅇ을 구성하며, 이 모든 요인들이 모여 자연군집을 이룬다. 두 자연군집이 똑같은 경우는 없지만, 여러 군집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세계는 생물군계(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과 동물의 군집)로 나눌 수 있는데 중요한 육상생물군계는 툰드라, 삼림, 초원, 사바나, 관목림, 사막으로 분류된다. 삼림은 돈대낙엽수림군계, 열대우림군계 등과 같이 더 작은 생물군계로 나누어지며, 특정한 생물군계로 나눌 수 없는 수역에도 많은 생물이 살고 있다.

 

 

툰드라

춥고 나무가 없는 지역으로 북극해를 에워싸고 있는 북극대륙과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부지역까지 이른다. 이 지역은 땅이 일 년 내내 꽁꽁 얼어붙어 있고, 연간 강수량이 160~200mm 밖에 되지 않는다. 알프스, 얀데스, 히말라야, 로키 산맥 등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맥들의 윗부분에도 툰드라가 형성된다.

 

툰드라는 여름이 60알 정도이며, 여름 평균기온도 7도 밖에 되지 않는다. 여름에는 땅의 위족 30cm 가량이 녹아 넓은 습지와 연못과 늪이 형성된다. 툰드라에는 이끼, 관목, 여러해살이풀과 같은 식물이 자라는데, 이들은 나즈막하게 밀집하여 자라 바람과 추위를 피한다. 이 지역의 땅은 대부분 빽빽하게 자란 지의류(조류와 균류과 결합된 생물)로 덮여 있다.

 

삼림

지구 육지 면적의 약 3분의 1을 덮고 있다. 삼림은 나무와 그 밖의 많은 식물들로 이루어진다. 삼림은 크게 침엽수림, 온대낙엽수림, 열대우림 세 가지로 분류된다.

 

 

침엽수림

구과가 열리는 상록성 침엽수로 구성되는데, 북방침엽수림과 온대침엽수림으로 나뉜다. 타이가라고 하는 북방침엽수림은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대륙의 최북단에 위치하는 지역과 이들 대륙의 높은 산악지대에서 발달하며, 전나무,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나무가 뾰족한 삼각형 모양이어서 쌓인 눈이 떨어지기 쉽다. 

 

북방침엽수림의 지면에는 이끼와 몇 종류의 관목 등 극히 한정된 식물만이 자라며, 나무 아래에는 나무에서 떨어진 침엽이 수북히 쌓여 두터운 낙엽층을 이룬다. 이 낙엽에는 산이 들어 있어 썩는 동안 서서히 방출되는데, 산은 토양으로 스며들고, 산성을 띤 물이 많은 무기물을 녹여 토양의 깊은 층으로 운반한다. 그 결과, 북방침엽수림지역 토양의 표면의 흙은 양분이 부족하여 메마르므로 다른 종류의 식물은 자라지 못한다.

 

온대침엽수림은 겨울은 온화하고 비가 많으며 여름은 건조한 북아메리카 서부지역에서 볼 수 있다. 미송, 솔송나무, 삼나무, 미국삼나무, 세퀑;아가 온대침엽수림의 대표적인 나무이다.

 

온대낙엽수림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중부, 오스트레일리아 넓은 지역에 온대 낙엽수림이 분포한다. 온대낙엽수림에서는 물푸레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서나무, 단풍나무, 피나무 등이 자란다. 숲의 바닥에서는 온갖 들꽃과 어린나무, 그리고 관목이 무성하게 자란다.

 

열대우림

일 년 내내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나무는 대부분이 상록활엽수이며, 덮고 습한 기후 때문에 나뭇잎은 한 번에 모두 떨어지지 않고 조금씩 떨어지고 조금씩 난다. 열대우림에는 마호가니나 티크나무 등의 많은 종류의 나무가 자란다. 교목이 빽빼가게 자라 지면에는 햇빛이 거의 비치지 않기 때문에 양치류처럼 빛이 적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만이 지면에서 자란다. 지의류, 난초, 덩굴식물은 물론이고 많은 식물이 교목의 줄기나 가지에 붙어서 높은 곳에 분포한다.

 

 

열대우림지역은 많은 비 때문에 무기영양소가 씻겨나가 토양 속에 무기영양소가 적고, 기온이 높아져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해 분해 활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기물 양이 아주 적다. 그러나 낙엽이 썩으면서 새로운 양분이 계속 흙으로 방출되므로 식물이 무성하게 자랄 수 있다. 

'몸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적응 방법  (0) 2020.12.21
식물의 생장 방법  (0) 2020.12.20
식물의 기관  (0) 2020.12.18
식물의 생식 방법  (0) 2020.12.17
식물의 종류  (0) 2020.12.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