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 4차 산업혁명의 통찰 2016년 초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핵심의제로 등장한 것을 계기로 우리는 언젠가부터 언론을 통해 거의 매일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표현을 듣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실체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여러 주장이 난무해 혼란이 가중된다. 전문가들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을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시대라고 주장한다. 지능을 가진 기계와 제품이 주거, 의료, 교통, 복지 등에서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간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는 소프트파워의 시대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강조한다. 한편에서는 디지털, 물리, 생물학 등 다양한 영역과 인공지능이 융합하는 것은 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이지 새로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의 정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자오 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의 정.. 2021. 2. 1. 신경계 작용과 신경계의 구성 신경계 신경계는 동물이 주위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채네 정보 전달을 담당하는 기관계다. 가장 단순한 종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동물은 일정한 신경계가 있다. 무척추동물은 단순한 신경망에서 신경섬유와 원시적인 뇌로 이루어진 신경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경계를 갖는다. 사람을 비롯한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뇌와 척수, 여러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ㅇ기에서는 주로 사람의 신경계를 다룬다. 사람의 신경계 중에서 고도로 발달한 뇌는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우리는 뇌가 있기 때문에 말하고, 어려운 문제를 풀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신경계가 주변의 정보를 뇌로 전달하면 뇌는 여러 근육에 명령을 내려서 우리 몸이 그 정보에 대해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신경계는 또한 호흡, 소화, 심.. 2021. 1. 27. 식물학의 역사와 식물학의 중요성 초기 식물학의 발달 사람들은 항상 식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식물을 이용해왔다. 선사시대에는 야생식물을 채집하여 먹고 약으로 사용했으며, 집을 짓는데도 사용했다. 기원전 8000년 경 서남아시아에서 식량을 얻기 위해 식물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은 최초로 식물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4세기 경에 살았던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세상에 알려져 있던 대부분의 식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인 테오프라스토스는 그 식물들을 분류하고 명명했다. 흔히 테오프라스토스를 식물학의 아버지라고 한다. 서기 23년부터 79년까지 살았던 로마의 박물학자이자 저술가인 플리니우스는 자신이 편찬한 37권의 참고저서 에 식물에 대한 많은 사실을 기.. 2021. 1. 26. 식물학의 구분 식물학의 구분(종류) 1. 식물분류학 식물의 분류하여 이름을 붙이고 유연관계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계통 관계에 따라 식물을 분류하며, 식물 화석에 대한 연구에도 관여한다. 2. 식물행태학 식물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분류학의 기초가 된다. 한 식물이 어떻게 분류되고, 어떻게 자라고 생활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그 생물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3. 세포학과 조직학 세포학은 모든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세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세포학이 세포 그 자체를 연구하는데 비해, 조직학은 서로 비슷한 세포들이 모여서 식물체 내에서 배열되는 방식을 연구한다. 세포학과 조직학 모두 식물형태학의 한 분야이다. 4. 식물생리학 식물의 기능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이 어떻게 양분.. 2021. 1. 25. 식물 질병의 진단법과 식물 조직 배양 식물 질병의 진단 식물 질병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병이 병원체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환경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병원체에 의해 일어나는 병은 식물체의 안이나 겉에 병원체가 존재하는ㄴ 것이 트징이다. 전문가의 경우는 관찰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특정 지침서를 이용하여 병원체가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그러나 아무런 병원체도 찾을 수 없으며,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분리할 수도 , 또 전염시킬 수도 없다면 그 병은 환경요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환경요인은 매우 많지만 병의 원인을 쉽게 알 수 있는 특정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많지 않아서 병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렵다. 식물 질병의 방제 식물 질병의 방제는 병을 예방하거나 발병을 줄이는.. 2021. 1. 23. 식물 질병의 분류 식물 질병의 분류 식물 질병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뿌리썩음병, 시들음병, 탄저병, 깜부기병 등과 같이 병에 의해 나타나는 병징에 따라 나누기도 하며, 뿌리병, 줄기병, 잎병, 열매병 등과 같이 식물체가 감염되는 부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채소병, 파수병, 잔디병 등 병에 걸리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많이 쓰이는 분류법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식물병을 나누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법의 장점은 병명이 병의 원인을 알려주기 때문에 병의 진전과 전염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물론 방제법까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에서는 식물병을 크게 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과 비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으로 나눈다. 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은 곰팡.. 2021. 1.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