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질병의 분류
식물 질병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뿌리썩음병, 시들음병, 탄저병, 깜부기병 등과 같이 병에 의해 나타나는 병징에 따라 나누기도 하며, 뿌리병, 줄기병, 잎병, 열매병 등과 같이 식물체가 감염되는 부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채소병, 파수병, 잔디병 등 병에 걸리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많이 쓰이는 분류법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식물병을 나누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법의 장점은 병명이 병의 원인을 알려주기 때문에 병의 진전과 전염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물론 방제법까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에서는 식물병을 크게 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과 비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으로 나눈다. 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은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선충, 원생생물, 기생성 고등식물 등이 원인이 되어 생기며, 비생물성 원인에 의한 병은 온도, 토양, 수분, 빛, 산소 등이 알맞지 않아서 생긴다.
식물 질병의 해와 중요성
우리는 식물에서 식량을 비롯한 많은 것을 얻기 때문에 식물과 그 생산물에 피해를 주는 식물 질병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식물 질병은 생사량 및 질의 저하를 가져올 뿐 아니라 어떤 식물의 재배 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밤나무가지마름병은 미국에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 심어놓은 미국밤나무를 전멸시켰으며, 조경수로서 가치가 높던 느릅나무는 느릅나무마름병 때문에 조경수로 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식물의 질병에 의한 피해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일찍이 아일랜드에서는 감자역병의 대발생으로 1845년부터 1860년에 100만 명이나 죽었고, 150만 명이 신대륙으로 이주했다. 아시아에서도 많은 피해가 있었는데, 1943년 인도의 벵골지방에서는 벼깨씨무늬병이 발생하여, 200만 며이 굶어 죽었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해방 전에는 북서 지방에서 사탕무를 재배했으나, 갈색무늬병, 뱀눈무늬병 및 모자이크병의 발생으로 제배가 중단되었다.
식물 질병은 생산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병원균이 분비한 독소 때문에 동물이나 사람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1963년 우리나라에서 맥류에 붉은곰팡이병이 크게 발생했을 때 병든 곡식을 먹은 동물들이 중독증을 일으켜 큰 사회문제가 되었다. 영국에서도 브라질에서 수입한 땅콩사료에 식물병원균이 분비하는 독소가 들어 있어서 이 사료를 먹은 100만 마리의 칠면조가 죽은 예가 있다. 최근 들어 국가간의 농산물 판매와 구매가 활발해지면서 외국에서 들어오는 새로운 병원균을 막아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했다.
식물 질병의 발생과 진전
식물체에 병이 발생하려면 적절한 환경조건이 필요하다. 너무 춥거나, 너무 덥거나, 건조하면 병원체가 침입할 수 없다. 환경조건이 알맞으면 접종, 침입, 감염, 전반, 월동 과정으로 병이 진행된다.
접종
식물체가 병원체와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침입
병원첵 식물체 속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식물체 표면으로 직접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상처나 기공을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세균은 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학, 때로는 기공을 통해 침입하기도 하지만 표면으로 직접 침입하는 경우는 없다. 바이러스는 매개충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대부분의 식물병원균인 곰팡이는 상처 및 기공을 통해서도 침입하고, 식물체 표면으로 직접 침입하기도 한다.
감염
병원체가 식물체의 세포나 조직에서 양분을 취하며, 생장과 증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병원체가 침입한다고 해서 항상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종류의 병원체가 병에 감수성을 나타내지 않는 식물체에도 침입한다. 이러한 병원체는 침입 이상의 단계로 진전되지 못해 병을 일으키지 못하고 죽어버린다. 식물체가 병원체에 가감염되면 변색, 변형, 썩음 등의 병징이 나타난다.
월동
병원체가 추운 겨울을 지내는 것을 말한다. 다년생식물에 침입하는 병원체는 식물체에서 겨울을 지낼 수 있지만, 일년생식물에 침입하는 병원체는 식물체가 생장기를 지나면 죽기 때문에 특별한 방법으로 겨울을 나도록 진화했다.
'몸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학의 구분 (0) | 2021.01.25 |
---|---|
식물 질병의 진단법과 식물 조직 배양 (0) | 2021.01.23 |
씨와 씨의 종류, 씨의 구성, 씨의 발달 (0) | 2020.12.30 |
식물의 분류 (0) | 2020.12.23 |
식물의 적 - 질병, 영양결핍, 해충, 식물의 방어법 (0) | 2020.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