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

식물의 기관 식물의 기관 식물도 다른 생물과 마찬가지로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세포들이 모여 특정한 조직을 이룬다. 땅에서 사는 식물 중에 선태식물을 제외한 모든 식물은 몸 안에 물과 무기물 그리고 그 밖의 양분을 실어나르는 통도조직인 관다발이 있다. 관다발인 물관과 체관이 있는 식뮬울 관다발식물이라고 하며, 물관과 체관이 없는 선태식물은 비관다발식물이라고 한다. 가장 흔한 식물 형태인 종자식물은 몸이 뿌리, 줄기, 잎, 꽃의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 뿌리, 줄기, 잎은 영양기관이며, 꽃, 열매, 씨는 생식기관이다. 식물의 뿌리 대부분 땅 속에서 자라며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물과 양분을 흡수한다. 또 몸을 흙에 고정시키며, 양분도 저장한다. 뿌리는 실처럼 가느다란 뿌리가 사방으로 뻗어 있는 수염뿌리와 당근이나 무.. 2020. 12. 18.
식물의 생식 방법 식물의 생식 방법 식물은 유성생식이나 무성생식으로 번식한다. 유성생식은 유전자(유전물질)가 들어 있는 정핵과 난세포가 결합하여 새로운 식물을 만드는 생식 방법으로, 새로 만들어진 개체는 양쪽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지만 양쪽 부모와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무성생식은 부모 중 한 개체에서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그 개체와 독같은 형질을 지니게 되는 생식 방법이며, 영양생식 등이 있다. 유성생식 세대교번이라고 하는 복잡한 생활사로 나타나며, 뚜렷한 두 세대네 두 단계가 교대로 나타난다. 생활사의 한 단계는 배우체인데, 대부분의 식물에서 배우체는 육안으로는 거의 볼 수 없는 작은 크기이다. 배우체는 배우자, 즉 정핵과 난세포를 생성하는데, 식물에 따라 배우체가 정핵이나 난세포의 둘 중 하나 또는 둘.. 2020. 12. 17.
식물의 종류 식물의 종류 지구상에 있는 26만 종이 넘는 식물종은 여러 점에서 서로 다르지만, 공통된 특징도 가진다. 이러한 유사성에 근거하여 과학자들은 종류가 다른 식물을 몇 개의 무리로 통합하여 분류한다. 식물은 기본적으로 종자식물, 양치식물, 석송식물, 속새식물, 선태식물의 다섯 무리로 분류된다. 종자식물 종자식물은 씨를 만들어 번식하는 식물이며, 크게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구분한다. 지구상에 있는 26만 종이 넘는 식물 중 절반 이상이 속씨식물이다. 속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둘러싸이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다. 속씨식물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가장 작은 속씨식물인 개구리밥은 길이가 약 5mm이지만, 가장 큰 유카리나무는 키가 90m를 넘는다. 속씨식물은 떡잎이 한 장인 외떡잎식물과 두 장인 쌍떡잎 식물로 .. 2020. 12. 16.
식물과 식물의 중요성, 식물 종류 식물은 무엇인가 식물은 생물을 구서하는 여러 무리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하며, 이동할 수 없고 체제가 비교적 단순하다. 식물은 세계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라는데, 우리는 꽃, 풀, 나무와 같은 식물을 거의 매일 보면서 살아간다. 생물은 전통적으로 동물, 식물 두 무리나 동물, 식물, 원생생물 세 무리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동물, 식물, 균류, 원생생물, 원핵생물 다섯 무리로 구분하고 있다. 식물은 동물과 같이 고등생물이지만 세표벽이 셀룰로오스라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배라는 작은 식물에서 자라난다. 또한 거의 모든 식물은 일생 동안 한 장소에 머무르며, 공기, 햇빛, 물을 이용한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든다. 그러나 식물 중에는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못하고 살아 있는 다른 .. 2020. 12. 15.
생식 방법의 진화와 사람의 생장 생식 방법의 진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약 35억 년 전에 지구에서 생물이 탄생했다고 생각한다. 최초의 생물은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단세포생물로 바다에 살았으며, 무성생식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성생식도 바다에서 진화했다. 바다에 사는 동물은 체외수정을 통해 유성생식을 한다. 즉, 암컷이 알을 물에 방출하면 수컷이 정자를 뿌려 수정이 이루어진다. 약 4억 년 전에 일부 생물들이 바다를 떠나 육지로 서식지를 옮겼다. 새로 만나게 된 환경은 건조했기 때문에 배우자를 땅 위에 방출하면 곧 말라 죽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식 방법으로는 생존이 힘들게 되었고, 육상 환경에 맞는 새로운 생식 방법을 발달시키게 되었다. 식물 씨로 번식하게 되었다. 씨는 배(수정란)를 둘러싸고 있어서 생장에 필요한 물.. 2020. 12. 14.
생물학과 생물학의 연구대상, 유전자의 전달방식 생물학이란 생물학은 생물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구상에는 천만 종 이상의 생물이 있다.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작은 세균에서 거대한 흰수염고래에 이르기까지 생물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또 생물이 사는 장소와 살아가는 방법도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모든 생물은 무생물과 구별되는 공통된 특성이 있는데 번식, 생장,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 등이 그것이다. 전통적으로 생물학은 크게 식물학과 동물학으로 구분되낟. 식물학과 동물학은 다시 좀 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생물의 구조를 연구하는 해부학이나 유전 현상을 연구하는 유전학 등 대부분의 분야는 식물과 동물 모두에 적용된다. 생물학은 또 생태학, 생리학, 분류학으로 나눌 수도 있다. 생태학은 생물과 생물, 생물과 환.. 2020.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