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의 구분
식물학의 구분(종류)
1. 식물분류학
식물의 분류하여 이름을 붙이고 유연관계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계통 관계에 따라 식물을 분류하며, 식물 화석에 대한 연구에도 관여한다.
2. 식물행태학
식물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분류학의 기초가 된다. 한 식물이 어떻게 분류되고, 어떻게 자라고 생활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그 생물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3. 세포학과 조직학
세포학은 모든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세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세포학이 세포 그 자체를 연구하는데 비해, 조직학은 서로 비슷한 세포들이 모여서 식물체 내에서 배열되는 방식을 연구한다. 세포학과 조직학 모두 식물형태학의 한 분야이다.
4. 식물생리학
식물의 기능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이 어떻게 양분을 만들고 호흡을 하며 물질을 흡수하고 증산작용을 하며 운동을 하는지를 연구한다. 또 식물의 생장과 번식을 연구하며 외부환경과 작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5. 식물생태학
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은 늪지, 초원, 사막, 삼림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각각 다른 생활 양식으로 살고 있다. 식물생태학은 기후와 물의 공급, 토양과 같은 조건이 식물의 생장, 생존,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또한 식물과 동물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 삼림 관리와 작물 재배 자연보호, 그리고 식물을 해치는 해충과 집령 제어와 같은 많은 문제를 다룬다.
6. 식물병리학
식물에 해를 입히는 여러 질병을 다루는 학문이다. 식물의 질병은 날씨나 토양 내의 무기질 부족 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는 세균이나 균류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균류와 세균 중에는 식물에 기생하여 특이하게 병을 일으키는 종류가 있다. 식물이 병충해의 피해를 입으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그 병을 치료할 것인가를 연구한다.
식물이 병을 이겨내는 방법을 찾으려고 식물병리학자는 정상적인 식물을 연구하여 기능을 비교한다. 또한 식물을 해치는 다른 식물과 동물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화학약품(농약)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고, 식물의 생장 조건을 조절하거나 병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려는 연구도 식물병리학의 영역이다.
7. 유전학
생물이 형질을 자손에게 물려주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에서도 유전법칙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식물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병충해에 강하고 품질이 우수한 식물을 만들어낼 수있다.
8. 응용생물학
식물학을 실제로 이용하는 학문이다. 사람에게 이용되는 새로운 식물의 종류나 식물의 생산물을 찾아 내고, 어떤 비료가 필요한지 연구한다. 또 인간에게 이득을 주는 식물을 재배하는 실용적인 활동도 여기에 포함된다.
식물의 분류 방법
지구상에는 약 260000종이 넘는 다양한 식물이 살고 있다. 어떤 식물을 연구하거나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종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1. 식물의 명칭
식물의 학명은 항상 두 단어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어는 그 식물이 속하는 무리의 이름, 즉 속명이며, 두 번째 단어는 무리 내 특정 종류의 이름, 즉 종명이다. 이렇게 식물의 학명으로 속명과 종명을 나란히 쓰는 방법이 린네가 만든 이명법이다. 이를테면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는 모두 참나무속에 속하지만, 잎의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는 것은 상수리나무이고 잎의 가장자리가 파도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은 떡갈나무로 종명이 서로 다르다. 그리고 장미가 속하는 장미속과 사과나무가 속하는 사과나무속처럼 유연관계가 가까운 속들을 모아 한 과로 분류한다. 장미속과 사과식물속의 식물들은 모두 장미과로 분류된다. 나아가 장미과, 콩과, 범의귀과처럼 서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과를 모아 목으로 묶는다. 이들 세 과는 모두 장미목에 속한다. ㄷ장미목은 다시 모든 꽃피는 식물을 포함하는 속씨식물에 속한다. 구과식물은 겉씨식물에 속하며, 고사리류는 양치식물에 속한다. 이들 몇 가지 무리가 모여 관다발식물을 이룬다.
2. 라틴어의 사용
식물학자들이 처음으로 식물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할 무렵에는 라틴어가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통용되는 언어였다. 그 당시나 지금이나 식물의 일반명은 나라마다 다르고 심지어 같은 국가 안에서 지역에 따라 동일한 식물의 이름이 다르거나, 전혀 다른 식물에 같은 이름이 쓰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라틴어를 사용한 학명을 이용하면 식물을 더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오늘날에는 라틴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으므로 언어가 변해 혼란을 가져올 염려도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