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구조

식물의 종류

로운 이 2020. 12. 16. 06:00

식물의 종류

지구상에 있는 26만 종이 넘는 식물종은 여러 점에서 서로 다르지만, 공통된 특징도 가진다. 이러한 유사성에 근거하여 과학자들은 종류가 다른 식물을 몇 개의 무리로 통합하여 분류한다. 식물은 기본적으로 종자식물, 양치식물, 석송식물, 속새식물, 선태식물의 다섯 무리로 분류된다.

 

종자식물

종자식물은 씨를 만들어 번식하는 식물이며, 크게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구분한다. 지구상에 있는 26만 종이 넘는 식물 중 절반 이상이 속씨식물이다. 속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둘러싸이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다. 속씨식물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가장 작은 속씨식물인 개구리밥은 길이가 약 5mm이지만, 가장 큰 유카리나무는 키가 90m를 넘는다. 속씨식물은 떡잎이 한 장인 외떡잎식물과 두 장인 쌍떡잎 식물로 나누어진다. 

 

겉씨식물은 밑씨가 겉으로 드러나 있는 식물로, 대부분 구과(솔방울)에 씨가 있다. 구과식물, 소철류, 은행나무, 마황류와 같은 식물이 겉씨식물을 구성한다. 구과식물은 가장 잘 알려진 겉씨긱물로, 소나무, 개잎깔나무, 전나무, 미국삼나무, 가문비나무 등이 속한다. 소철과 은행나무는 수백만 년 동안 지구상에 살았으며 한 때는 넓은 지역에 걸쳐 무성하게 자랐다. 소철은 야자와 생김새가 아주 비슷하여 가지가 없는 줄기 끝을 긴 잎이 관처럼 둘러싸고 있는데 야자와 달리 큰 구과가 열린다. 오늘날 한 종류만 남아 있는 은행나무는 부채 모양의 납작한 잎이 있으며 매실과 같은 열매를 맺는다. 마황류는 희귀한 겉씨식물로, 속씨식물과 모양이 비슷하여 넓적한 타원 모양의 잎이 있으며, 속씨식물의 물관과 매우 비슷한 관으로 물을 운반한다.

 

 

양치류(고사리류)
나무가 울창한 축축한 숲에서 주로 자라며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물에 사는 수생 고사리는 잎이 길이가 2.5cm 정도지만, 열대지방의 나무고사리는 20m 넘게 자란다. 고사리의 잎은 엽상체로 되어 있고, 많은 잔잎들로 이루어져있다. 대부분의 고사리에서 엽상체는 유일하게 땅 위로 자라는 부분이다. 엽상체는 땅 속에 수평으로 뻗는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데, 어린 싹은 감겨 있다가 자라면서 풀린다.

 

고사리류는 가장 오래된 육상식물 중 하나이며, 석탄기에는 키 큰 고시리류가 지구를 뒤덮기도 했다. 이들은 석송류나속새류와 함께 후에 석탄이 되었다.

 

석송류

육상에 처음 나타난 식물이다. 석송류에는 석송, 물부추, 부처손 등이 있으며, 잎 중앙에 한 개의 잎맥이 있다. 석송은 이끼와 비슷하지만 나선 형태의 작은 바늘이나 비늘 모양의 잎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석송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서 볼 수 있으며, 숲의 지면을 마치 융단처럼 뒤덮는다. 물부추는 호수나 강가의 축축한 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짧고 잎은 기다란 풀잎 모양으로 길이가 약 35cm 정도이다. 물부추와 유연관계가 있는 식물은 키가 약 40m에 달하는 큰 나무였으며 약 2억 9000만 년 전에 살았다고 추정된다. 부처손은 지구상에 약 700종이 있다. 보통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며, 주로 숲의 습기찬 지면에서 자란다. 부처손의 잎은 작은 비늘 모양이며,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지면을 따라 뻗는다. 이 식물은 약 3억 년 전에 지구상에 처음 나타났다. 

 

 

속내류

속이 비고 마디가 있는 줄기를 가진 식물이다. 60cm~90cm 정도로 자라며, 녹색 줄기에 작고 검은 잎이 있다. 잎 대신 줄기에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한다. 일부 속새류는 줄기에 가지가 수레바퀴처럼 돌려 나 있어 마치 말꼬리처럼 보인다. 속새류의 줄기에는 금이나 이산화규소와 같은 무기물이 소량 축적되는데, 이산화규소는 줄기를 사포처럼 매우 거칠게 만든다. 그래서 냄비나 후라이팬과 같은 조리기구를 닦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선태식물

태류, 선류, 뿔이끼류가 속하는 식물군이다. 선태식물은 북극에서 열대우림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삼림이나 산골짜기의 축축하고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물과 양분을 운반하는 관다발조직이 없는 식물이다. 태류, 선류, 뿔이끼류는 20cm 이상 자라지 못한다. 이들은 모두 뿌리 대신 헛뿌리가 식물체를 흙에 고정시키고 물과 무기물을 흡수한다. 

 

물이끼가 두꺼운 층으로 자라서 만들어진 이탄은 물을 많이 흡수하고 흙은 느슨하게 유지하므로 흙과 섞어 원래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