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 방법의 진화와 사람의 생장
생식 방법의 진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약 35억 년 전에 지구에서 생물이 탄생했다고 생각한다. 최초의 생물은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단세포생물로 바다에 살았으며, 무성생식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성생식도 바다에서 진화했다. 바다에 사는 동물은 체외수정을 통해 유성생식을 한다. 즉, 암컷이 알을 물에 방출하면 수컷이 정자를 뿌려 수정이 이루어진다. 약 4억 년 전에 일부 생물들이 바다를 떠나 육지로 서식지를 옮겼다. 새로 만나게 된 환경은 건조했기 때문에 배우자를 땅 위에 방출하면 곧 말라 죽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식 방법으로는 생존이 힘들게 되었고, 육상 환경에 맞는 새로운 생식 방법을 발달시키게 되었다.
식물
씨로 번식하게 되었다. 씨는 배(수정란)를 둘러싸고 있어서 생장에 필요한 물을 만날 때까지 말라 죽지 않도록 한다.
곰팡이
포자로 번식하게 되었는데 포자는 물이 있을 때만 자라기 시작한다.
양서류
개구리나 두꺼비 등의 양서류는 연못이나 물웅덩이에서 체외수정을 한다. 양서류의 수정란에는 완전한 성체로 자라는 데 충분한 야운이 없기 때문에 알에서 깨어나서 성체가 되기 전에 유생의 시기를 거친다. 완전히 성숙하는데 필요한 양분은 이 시기에 섭취한다.
곤충
물을 간직하고 있고 껍질이 있는 알로 번식하게 되었다. 암컷은 나뭇가지 등 바람이 통하는 곳에 알을 낳지만 알은 건조해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수컷에게 받은 정자를 암컷이 복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알을 낳기 전에 수정시켜서 몸 밖으로 내보낸다.
파충류와 조류
파충류는 수컷이 암컷의 몸에 있는 구멍을 통해 몸 속으로 정자를 방출하는 체내수정을 개발했다. 난자는 메마를 염려가 전혀 없는 암컷의 체내에서 수정된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조류가 파충류에서 진화했다고 믿고 있다. 파충류와 조류의 알은 많은 양의 영양분을 담고 있으며 껍질은 방수성이다. 새끼는 알 속에서 양분을 소비하면서 자라 거의 성체에 가깝게 발달된 후 알을 깨고 나온다.
포유류
포유류는 체내수정으로 생식한다. 초기의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알을 낳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바늘두더지와 오리너구리 두 종만이 알을 낳아 번식하며, 그 밖의 모든 포유류는 새끼를 낳는다.
포유류의 한 종류인 유대류는 매우 미성숙한 새끼를 낳는다. 유대류의 새끼는 암컷의 몸에 달린 주머니 속에서 젖을 먹으며 자란다. 유대류에는 캥거루, 주머니쥐, 코알라 등이 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잘 발달한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어미의 몸 속에 있는 태반이라는 특수한 기관을 이용해 어미의 혈액에서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포유류를 태반류라고 한다.
사람의 생장
초기의 발생
수정란에서 각 기관이 분화되기까지의 초기 발생 단계에 있는 동식물을 배라고 한다. 사람의 배는 천천히 발생하는데, 수정된 지 두 달 가량 지나면 길이는 4cm에 불과하지만 사람의 형태를 갖춘다. 사람의 경우 이 시기부터 배를 태아라고 한다. 7개월이 되면 태아의 몸무게는 0.9kg가량 되고, 몸길이는 38cm 정도 된다. 이 때부터 태아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자라서 두 달 후 태어날 때쯤의 몸무게는 대게 2.7kg~3.6kg, 몸길이는 48~53cm가 된다.
생장속도
체조직의 합성 속도와 분해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처음 아기가 태어났을 때 생장 속도가 빠른 것은 아기의 몸에서 체조직이 합성되는 속도가 분해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아기는 처음 두 해 동안에 가장 빨리 자라며, 그 후로 사춘기가 될 때까지 생장 속도가 점점 느려진다. 사춘기에 접어든 다음 처음 두 해 동안에는 다시 빨리 자라기 시작해서 소년의 경우 대개 12~14세에 급격히 키가 크면서 10~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 그러나 소년은 생장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가 12~17세 사이에 언제라도 나타날 수 있다. 사춘기에 접어든 소녀가 빠르게 생장하는 시기는 대게 소년보다 2년 정도 앞선다. 그러나 최대 생장 속도는 소년보다 다소 못하다. 여자는 대개 남자보다 작은데, 그 주원인은 사춘기의 생장 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사춘기가 되기까지 소년과 소녀의 평균신장은 거의 같다.
골격나이
의사들은 흔히 뼈의 생장을 기초로 어린이의 생장을 가늠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의 발육이 느릴 ㄱㅇ우 실제 나이가 6세라도 뼈 구조는 단지 5세 수준일 수도 있다. 어떤 질병은 뼈의 생장을 방해하는데, 골격 나이를 알아봄으로써 그로 인한 지체 정도를 판단한 할 수 있다.